Business BB/경제 유튜브 요약

코스피 3000 돌파, 한국 증시의 새로운 전환점과 투자 전략

뉴도리 2025. 6. 22. 20:21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_b789n6RsLQ?si=M9xl3hLysIESqS1W

염승환 이사의 '염블리와 함께' 6월 20일 방송분

 

영상 주요 내용 요약

1. 코스피 3,000포인트 돌파의 의미

  • 2025년 6월 20일, 코스피가 3,000포인트를 3년 반 만에 다시 돌파함. 이는 국내 증시의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과거와 달리 주주환원, 상법 개정 등 주주가치 제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임을 강조함.

2.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관련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시장 접근성 평가에서 공매도 금지 해제 등 일부 항목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여전히 19개 항목 중 6개는 미흡하다는 평가. 6월 25일에 선진국 지수 후보군 선정 여부가 발표되며, 이번에 선정되지 않으면 1년을 더 기다려야 함. 전반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는 평가.

 

3. 비올 상장폐지 이슈

  • 비올(Viol)이라는 기업이 대주주(DMS)와 사모펀드(VII 파트너스) 간 M&A로 상장폐지 수순을 밟고 있음. 소액주주도 대주주와 동일한 가격(12,500원)에 공개매수에 응할 수 있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알짜기업을 비상장으로 전환해 대주주와 사모펀드가 이익을 독점하게 되는 구조라 문제를 지적. 소액주주들은 공개매수에 응하지 말고, 주주행동 플랫폼(액트 등)을 통해 집단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함.

4. 반도체 및 AI 데이터센터 산업 전망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의 HBM(고대역폭 메모리) 및 차세대 D램 증설,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등으로 반도체 업황이 긍정적으로 전망됨. 데이터센터 시대가 본격화되며, 관련 밸류체인(전력, 냉각, 배전 등) 기업의 성장 가능성도 높게 평가함.

5. 스테이블코인과 금융산업 변화

  • 스테이블코인은 본질적으로 은행과 유사한 역할을 하며, 만약 대중화된다면 기존 은행의 예대마진(신리지) 등 기득권이 약화될 수 있음.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가능성, 은행권의 반발, 금융시스템 변화 가능성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언급함.

6. 신정부 에너지·부동산 정책 및 관련주

  • 신정부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정책을 추진하며,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관련 기업(LS일렉트릭, SK에코플랜트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

7. 주요 종목 및 산업 동향

  • 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 등 화장품주: 중국 소비 회복, 더마 화장품 브랜드 성장 등 긍정적 요인 부각.
  • SK가스: LNG·LPG 혼합 발전소 완공, 아마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투자비 감소에 따른 주주환원 기대.
  • SMCG: 친환경·고급화 트렌드에 힘입어 유리용기 시장 성장, 국내 1위 경쟁력 강조.
  • T3, VIP자산운용 매수 종목 등도 언급하며, 밸류체인 내 경쟁력이 높은 기업에 주목할 것을 조언함.

8. 투자정보 서비스 안내

  • LS증권의 '투게더' 서비스에서 해외 시황, 주요 뉴스, 종목 분석, 리서치 보고서 등 다양한 투자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안내함

 

영상에서 언급된 주요 증권사 리포트 요약

1. 반도체·AI 데이터센터 산업 리포트

  • 최근 증권사 리포트에 따르면, 2026년 HBM(고대역폭 메모리) 용량 증가율이 매우 낙관적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AMD의 신규 AI 가속기 MI325X 등 차세대 제품은 HBM 용량이 크게 늘어나고,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주요 공급업체로 부각됩니다. HBM 및 범용 메모리 반도체 모두 수요가 견조하며, 특히 AI 데이터센터용 반도체 시장이 계단식(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 품질 중심의 기술 경쟁이 심화되면서, 삼성전자는 하이닉스에 비해 품질에서 밀렸지만, 하반기 차세대 D램 증설 등으로 반등이 기대됩니다.
  • 데이터센터 시대의 도래로, 전력, 냉각, 배전 등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수혜주(LS ELECTRIC, SK가스, 캡터 등)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 SK가스 리포트

  • SK가스는 LNG·LPG 혼합 발전소(울산 GPS) 완공과 아마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등으로 성장성이 부각됩니다.
  • 2024년까지 대규모 투자가 마무리되어 2025~2029년에는 투자비가 크게 감소, 잉여 현금흐름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 향후 4년간 약 7,250억 원의 투자비 감소로 주주환원(배당 등) 여력이 커지며, 시가총액 대비 10%가 넘는 주주수익률이 기대된다는 증권사 분석이 소개됐습니다.

3. SMCG(유리용기) 리포트

  • SMCG는 친환경·고급화 트렌드에 힘입어 유리용기 시장에서 국내 1위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플라스틱 규제 강화, 파유리(친환경 소재) 수요 증가, 다양한 디자인 및 금융 역량 보유 등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습니다.
  • VIP자산운용 등 기관의 신규 매수 사례도 언급되며, 영업 레버리지 효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내용이 전해졌습니다.

4. 화장품주(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 등) 리포트

  •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소비 회복, 면세점 수요 증가, 더마 화장품 브랜드(에스트라) 성장 등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코스알엑스도 해외 진출 확대, 유통망 정비로 하반기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됩니다.
  • 더마 화장품 시장의 성장성, 브랜드 다각화, 해외 진출 등이 주요 투자 포인트로 제시됐습니다.

5. 신재생에너지·전력 인프라 리포트

  •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 변화로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LS ELECTRIC, SK에코플랜트, SK이테크놀로지 등)이 수혜를 입을 전망입니다.
  • HVDC(초고압직류송전), 해저케이블 등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가 예상되며, 관련 기업의 중장기 성장성이 부각됩니다.

 

6. 시장 및 투자 전략 리포트

  • 한국 증시는 낮은 밸류에이션, 높은 ROE, 주주환원 정책 강화 등으로 반등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가 이어집니다.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관련, 시장 접근성 일부 개선(공매도 해제 등)이 있었으나 미흡한 점도 남아 있다는 점이 언급됐습니다.
  • 미국 중심 투자에서 벗어나 글로벌 분산, 신성장 산업(반도체, AI, 데이터센터, 신재생에너지 등) 중심의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전략적 조언도 함께 소개됐습니다.

 

“본 자료는 투자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으로 제공된 것이며,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과 그에 따른 책임은 모두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